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코딩

“Browser MCP로 시작하는 AI 기반 브라우저 자동화: Cursor·Claude·VSCode 연동 가이드”

by mean. 2025. 4. 12.

browsermcp.io에서 제공하는 Browser MCP가 무엇인지, 어떤 기능과 장점을 갖고 있으며, 실제로 어디까지 활용 가능하고 어떤 주의사항이 있는지를 최대한 친절하고 자세하게 안내해 보았습니다.

자동화 기술, 특히 AI + 브라우저 통합 솔루션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라면 끝까지 읽으시면서 어떤 이점이 있는지 사례와 팁을 함께 살펴보세요. 중간에 지루해지지 않도록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담과 주의점도 곁들였습니다!


1. Browser MCP란 무엇인가?

1.1 MCP의 기본 개념

먼저 MCP라는 용어부터 살펴봅시다. 사실 많은 분들이 “MCP가 뭔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이는데, 여기서 MCP는 흔히 “Model Context Provider”“Multi-Context Provider” 등의 약자로 쓰입니다.

  • AI 앱브라우저(또는 기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맥락(Context)을 중계하거나,
  • 명령을 수신·해석하여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는 중간 연결(Proxy) 레이어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Playwright, Puppeteer 등의 자동화 라이브러리를 통해 브라우저를 원격 조작하거나,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툴을 이용해 UI 상호작용을 자동화하곤 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AI와 직접 연동하여 자연어 명령으로 브라우저를 움직이려면 추가 작업이 많았습니다.
  • 게다가 로컬 브라우저 프로필을 활용해서 CAPTCHA 우회, 로그인 유지 등은 쉬운 일이 아니었죠.

Browser MCP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AI-브라우저 자동화 기술입니다.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 AI 에디터(예: Cursor, Claude, VSCode)와 연결하면,
  • 실제 사람이 브라우저를 쓰듯이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1.2 browsermcp.io

browsermcp.io 웹사이트는 해당 솔루션을 소개하며, 확장 프로그램 설치와 서버 설정 방법을 안내해 줍니다.

  • 이곳에서 “실제 브라우저 지문을 사용하여 봇 탐지와 CAPTCHA를 피한다”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이미 로그인해 있는 로컬 브라우저를 활용하기 때문에, 봇 탐지 시스템에 걸릴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하지만, CAPTCHA 문제나 일부 사이트의 Anti-bot 시스템은 여전히 복잡하고 예민한 분야입니다. 이후에 실제 사용자들의 후기와 경험을 살펴보겠지만, 이 부분은 만능 해법이라기보다는 “기존보다는 나은” 정도로 이해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2. Browser MCP로 할 수 있는 일

2.1 웹 작업 자동화

  • 반복적인 양식 작성: 예를 들어, 업무상 같은 폼에 매일 데이터를 입력해야 한다면, Browser MCP를 통해 해당 작업을 스크립트화하고, AI가 자연어 명령으로 “오늘도 그 양식 작성해 줘”라고 하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수집: 웹페이지에서 텍스트, 이미지, 표 데이터를 추출하여, 원하는 형식(CSV, 구글 스프레드시트 등)으로 정리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2.2 워크플로우 자동화

  • 로그인 유지: 이미 로그인된 브라우저 세션을 재활용하므로, 매번 쿠키/세션 정보를 새로 셋업할 필요가 적습니다.
  • UI 요소 검사, 클릭, 텍스트 입력, 드롭다운 선택 등: 실제 마우스·키보드 이벤트를 발생시켜, 사람이 하는 행동을 모사합니다.
  • 뒤로 가기 / 앞으로 가기 / URL 이동 등 기본 내비게이션 기능.

2.3 자동화된 테스트

  • 엔드 투 엔드(E2E) 테스트: 기존 Playwright, Puppeteer처럼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사용자 플로우를 테스트합니다.
  • UI 요소 검증: 버튼, 입력 필드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자동 체크.

특히 AI 코딩 에디터와 연계하면, 테스터나 QA 담당자가 코드 없이 “이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 페이지로 넘어갔으면 좋겠어” 정도의 자연어 시나리오로 테스트를 짤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3. Browser MCP의 특징과 장점

3.1 속도

로컬 브라우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 원격 서버에 “스크린샷 요청” → “반환” 등의 지연이 줄어듭니다.
  • 네트워크 레이턴시 없이, 내 컴퓨터내 AI 에디터 사이에서 직접 명령이 오가므로 빠른 응답이 가능합니다.

3.2 개인 정보 보호

  • 원격 클라우드 환경에서 돌아가는 자동화 툴과 달리, 사용자의 로컬 브라우저에서 움직이므로, 브라우저 활동 기록이 클라우드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 오직 확장 프로그램 내부 처리 및 MCP 서버(로컬) 간 통신만 이뤄지므로, 민감 정보가 외부로 흘러갈 걱정을 덜 수 있죠. (단, 실제로 어떤 로그를 서버에 남기는지는 browsermcp.io의 정책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3.3 로그인 유지 & 은밀함

  • 기존 브라우저 프로필(Chrome 프로필 등)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이미 로그인된 사이트에서 다시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 봇으로 의심되는 라이브러리(Playwright, Puppeteer)가 내장된 가상의 헤드리스 브라우저가 아니라, 진짜 사용자 브라우저(Chrome, Edge, Firefox 등) 지문을 사용하기 때문에,
    • ReCAPTCHA봇 탐지 시스템을 피하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물론, 완벽한 무적 방패는 아니지만, 최소한 일반적인 헤드리스 브라우저보다는 더 인간적인(?) 활동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사용 방법: 단계별 살펴보기

4.1 Browser MCP 확장 프로그램 설치

  1. Chrome 웹 스토어 또는 Firefox 애드온 사이트에서 “Browser MCP” 확장을 찾습니다.
  2. 설치 후,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이 확장 프로그램이 브라우저MCP 서버 간의 다리를 놓아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4.2 MCP 서버 설정

  • AI 애플리케이션(Claude, Cursor, Windsurf, VS Code 확장 등) 측에서 MCP 서버 주소나 설정 항목을 찾아, Browser MCP와 연결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browsermcp.io 문서에 “AI 에디터에서 MCP 서버 추가” 가이드가 있을 텐데,
    • Cursor를 사용한다면 Cursor 설정에서 “Browser MCP” 플러그인을 활성화하거나,
    • Claude(데스크톱 버전/웹 버전)에서 “연결 가능한 플러그인”을 추가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4.3 자동화 시작

  • 자동화된 워크플로우 생성: 예를 들어, “쇼핑몰에 접속 → 특정 카테고리 검색 → 결과 중 평점 4 이상 필터링 → 결과 목록 수집 → 1페이지씩 이동하며 가격 정보 크롤링” 같은 시나리오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AI 어시스턴트가 “이걸 해줘” 라고 하면, 브라우저에서 요소를 찾아 클릭하고, 텍스트를 입력하고, 새 페이지로 이동하는 등의 행동을 실제로 수행합니다.

5. 브라우저 자동화 기능 도구 (Browser MCP)

browsermcp.io 설명에 따르면, MCP가 제공하는 “브라우저 제어” API(혹은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탐색(Navigate): URL로 이동
  2. 뒤로 가기(Back): 이전 페이지로 이동
  3. 앞으로 가기(Forward): 다음 페이지로 이동
  4. 대기(Wait): 특정 시간(초) 동안 대기
  5. 키 누르기(Press Key): 키보드 입력(Enter, Tab 등)
  6. 스냅샷(Snapshot): 접근성 트리 등 페이지 구조를 캡처
  7. 클릭(Click): 특정 셀렉터로 요소를 찾아 클릭
  8.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두 요소 간 드래그 앤 드롭 수행
  9. 호버(Hover): 마우스를 요소 위에 올림
  10. 텍스트 입력(Type): 입력 필드에 문자열 입력
  11. 옵션 선택(Select Option): 드롭다운에서 특정 옵션 선택
  12. 콘솔 로그 가져오기(Get Console Logs): 브라우저 콘솔 로그 추출

이러한 명령들이 모여, 실제 사람이 브라우저에서 하는 행위를 거의 완벽히 흉내낼 수 있습니다.


6. 호환 가능한 MCP AI 애플리케이션

다음과 같은 AI 에디터 또는 어시스턴트와의 연결성이 강조됩니다:

  1. Cursor:
    • 코드 편집 기능이 뛰어나며, AI 자동완성 및 대화형 코드 수정에 특화된 에디터.
    • Browser MCP를 설치하면, 편집기 내에서 명령을 입력해 브라우저 작업을 시킬 수 있음.
  2. Claude:
    • 고급 자연어 처리 모델.
    • Claude Desktop이나 웹 버전 플러그인을 통해 Browser MCP를 호출해, 브라우저 내 작업을 지시할 수 있음.
  3. Windsurf:
    • 대화형 AI 개발 환경으로, 브라우저 MCP 호환성을 제공한다고 함.
    • UI 테스트나 워크플로우 자동화를 “대화” 형태로 작성 가능.
  4. VSCode:
    • 역시 다양한 AI 확장(예: GitHub Copilot, Codeium 등)과 연동 가능한데, Browser MCP 호환 플러그인을 통해 브라우저 컨트롤이 가능하다면,
    • DevOps나 QA 작업을 VSCode에서 곧바로 실행·디버깅할 수도 있음.

7. 사용자 경험담 및 한계

7.1 “CAPTCHA 우회”와 차단 문제

  • 일부 사용자는 “이 시스템이 CAPTCHA를 우회해 준다”고 기대하지만, 실제로 CAPTCHA나 Anti-bot이 복잡해지면 완벽히 해결되지 않을 수 있음.
  • 초기에는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어 CAPTCHA가 안 뜨다가, 여러 번 자동화 요청으로 봇으로 의심받으면 다시 CAPTCHA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따라서, “무적이다”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일반 헤드리스 브라우저보다 상대적으로 차단 확률이 낮다 정도로 이해해야 합니다.

7.2 첫 시도는 성공, 이후 실패?

  • 어떤 분은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을 처음에는 잘 성공했는데, 두 번째, 세 번째 시도부터는 계속 오류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 AI 어시스턴트가 “예전과 똑같은 환경”이라고 가정하고 클릭해야 할 요소를 찾지 못하거나, 페이지 로딩 타이밍이 달라져서 Wait 처리를 제대로 못 하는 등, 재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죠.
  • 이런 부분은 타이밍 제어(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된 후 클릭), 동적 요소 식별(CSS 셀렉터가 매번 바뀌는 사이트) 등의 미묘한 문제와 관련됩니다.

7.3 브라우저와 MCP 간 지연

  • 처음에는 빠르게 진행되다가, 이후 시도에서 “클릭 명령”이 늦게 들어오는 현상도 보고되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이나 로컬 PC 성능, AI 모델의 응답 속도,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의 상태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 좀 더 긴 Wait를 설정하거나, AI에게 “오류가 발생하면 재시도” 로직을 가르쳐줘야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7.4 사용자들의 긍정적 피드백

  • “Playwright보다 설정이 덜 번거롭다”
  • “로컬 세션을 그대로 활용하니 내 계정으로 로그인된 사이트에 바로 접근 가능”
  • “첫 시도 때는 정말 편했다. 애매한 코드 수정 없이도 자연어로 명령하니 손쉽게 브라우저 조작”
  • “Claude Desktop에서 깔끔하게 작동”

특히, “간단한 업무 자동화”(예: 명세서 다운로드, 반복 폼 작성, URL 이동 후 텍스트 긁어오기) 면에서는 “대부분 잘 된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8. CAPTCHA 감지, 알림 기능 필요성

  • 어떤 분은 “페이지에서 CAPTCHA가 뜨면 자동화를 일시 중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면 좋겠다”라고 제안했습니다.
  • 현재 Playwright 등은 CAPTCHA가 뜨면 계속 시도하다가 에러를 내거나, 사람이 수동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 Browser MCP가 로컬 브라우저를 쓰는 만큼, 사용자가 직접 CAPTCHA를 풀어주면(이미 로그인 상태라면 안 뜰 수도 있지만), 그 즉시 자동화가 다시 진행되는 방식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browsermcp.io에서 공식적으로 이를 자동 감지하는 기능이 있는지 확실치 않지만, 향후 업데이트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9. 기대되는 활용 사례

9.1 쇼핑 웹사이트 필터링

  • “특정 조건(예: 가격대, 색상, 사이즈)에 맞는 상품만 필터링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
  • 브라우저 MCP가 사용자의 쇼핑 웹사이트 로그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회원 전용 기능도 활용 가능.
  • Captcha나 Anti-bot 필터에 안 걸릴 가능성이 높아, 좀 더 원활하게 크롤링·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음(단, 무리한 스크래핑은 사이트 정책 위반일 수 있으므로 유의).

9.2 환급 요청 같은 반복 업무

  • 매달 여러 서비스에 로그인해 명세서 다운로드, Google Docs 작성, 이메일 발송, 파일 업로드 등의 루틴 작업이 반복될 때, Browser MCP로 한 번 워크플로우를 잡아두면 편리합니다.
  • “마지막 단계에서 제대로 문서가 업로드됐는지 확인” 같은 조건 분기만 AI에게 설명해주면,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게 재확인을 요청하는 형태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9.3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대체 가능?

  • 전통적인 RPA 툴(예: UiPath, Automation Anywhere, Blue Prism 등)은 UI 요소 인식, 드래그 앤 드롭 워크플로우 작성에 강점이 있지만,
  • Browser MCP는 AI와의 자연어 통합이 뛰어나고, 로컬 브라우저 세션을 재활용하므로, “RPA 툴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습니다.
  • 다만, 아직은 직관적인 GUI 워크플로우 빌더가 부족하거나, 일부 기업 환경에서 요구하는 보안 기능이 미흡할 수 있으니, 기업용 RPA를 완전히 대체하기엔 시기상조일 수 있습니다.

10. 설정 팁 & 주의점

  1. 로딩 타이밍:
    • 웹페이지가 완전히 뜨기도 전에 클릭을 시도하면 실패할 수 있으므로, Wait조건부 대기(예: 특정 요소가 나타날 때까지 대기) 같은 설정을 적극 활용하세요.
  2. 동적 셀렉터:
    • “id가 매번 바뀌는” 사이트는 element를 찾기 어려울 수 있으니, CSS Class나 XPath 기반으로 상대 위치를 특정하거나, AI에게 그런 “셀렉터 전략”을 지시해야 안정적입니다.
  3. SSL/HTTPS 이슈:
    • 사내망이나 특정 SSL 인증서가 필요한 환경에서 작동 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이 에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브라우저가 해당 인증서를 신뢰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장시간 세션 유지:
    • 브라우저 MCP가 장시간 돌아가는 동안, 세션 타임아웃으로 로그아웃될 수도 있음. 정기적으로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다시 로그인 과정을 거치도록 워크플로우를 짜야 합니다.
  5. 보안 정책:
    • 회사나 조직에서 브라우저 확장 설치를 제한하거나, “로컬에서 자동화 스크립트 실행”에 대해 보안 규제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내부 정책을 확인하세요.

11. 정말 괜찮은가? vs. Microsoft Playwright-MCP의 복제?

  • 어떤 목소리에서는 “이건 Microsoft Playwright-MCP의 구식 복제판 아니냐?” 라는 우려 섞인 시선이 있습니다.
  • 실제로 Playwright가 최근 RPA 형태로 발전하며, 브라우저 간 호환성과 AI 통합 시나리오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Browser MCP가 Playwright 기반으로 만들어졌거나, 유사한 API를 참고했을 수도 있습니다.
  • “복제판”이라고 해도, 사용 편의성, 로컬 프로필 활용, 추가 기능이 더 뛰어나다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수 있죠.
  • 결국 중요한 건 사용자 경험: “설정이 간단하고, 실제 업무 자동화가 잘 되느냐?”가 관건이며, 사용자 후기에 따르면 초심자도 손쉽게 시도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

12. 미래 전망 & RPA 확장성

  • Browser MCP 같은 솔루션이 AI 시대의 RPA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 GPT-4, Claude, Windsurf 같은 모델들의 자연어 이해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 “이 버튼을 클릭한 다음, 나타난 팝업에서 두 번째 옵션을 선택해 줘”라는 ‘인간 수준’의 지시가 가능해집니다.
  • 파일 다운로드, PDF 변환, 내부 시스템 로그인 등 기업용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에도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자주 변하는 UI복잡한 보안 정책이 있는 환경에서는 여전히 사람이 일일이 개입해 스크립트 업데이트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 AI가 완벽히 스스로 인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니, 유지보수 계획도 세워둬야겠죠.

13. 실제 적용 시 참고할 만한 사용 시나리오

  1. 데이터 입력 / 추출
    • 회사 내부 ERP 시스템에 일정 주기로 데이터 등록 → 엑셀(또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이관
    • AI가 규칙 기반으로 입력값을 변환해 주거나, UI를 통해 일괄 등록
  2. 쇼핑몰 모니터링
    • 특정 상품의 가격 변동, 재고 상태 파악
    • 세일 알림 시 자동으로 구매(혹은 사용자에게 알림)
  3. SNS 관리
    •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자동 로그인 후, DM 확인, 댓글 모니터링
    • 스팸 필터링, 특정 키워드 검색 결과 리포팅
  4. 매달 고지서/영수증 정리
    • 여러 플랫폼에 로그인해 PDF 다운로드, 합산 처리, 스프레드시트 업데이트, 이메일 발송
  5. 사이트 운영 모니터링
    •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 → 서버 상태 확인 → 에러 로그가 있으면 Slack으로 통지 (AI가 로그 분석까지 도와줄 수도 있음)

14. FAQ (자주 묻는 질문)

  1. 브라우저 MCP가 모든 봇 탐지를 우회하나요?
    • 아니요. “일반 헤드리스 브라우저”에 비해 덜 의심받는다는 이점은 있지만, 모든 사이트에서 무조건 우회되는 건 아닙니다.
    • CAPTCHA가 뜨면 사람이 직접 풀어줘야 할 수도 있습니다.
  2. 확장 프로그램 설치 후 보안 위험은 없나요?
    • 공식 스토어에서 검증된 확장이면 기본적으로는 안전하지만, 민감 정보(로그인 토큰, 세션 쿠키 등)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 조직 정책에 따라 설치가 제한될 수 있으니, IT 부서와 협의하세요.
  3. 크롬 말고 파이어폭스, 사파리도 지원하나요?
    • browsermcp.io에 따르면 “주요 브라우저”를 지원하지만, 사파리는 정책상 확장 프로그램 접근 권한이 제한적일 수 있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 Chrome/Edge, Firefox가 가장 호환성이 좋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4. 무료인가요, 유료인가요?
    • 현재는 기본적인 확장 프로그램이 무료 배포 중이지만, 고급 기능(기업용, 대규모 팀 협업 등)에 대해서는 유료 라이선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정확한 가격 모델은 browsermcp.io 공지나 개발 로드맵을 참고하세요.
  5. 어떤 AI 모델을 연결해야 하나요?
    • Claude, Cursor, Windsurf, VSCode 등 이미 Browser MCP 연동 플러그인이 있는 툴을 쓰면 편합니다.
    • GPT-4, ChatGPT도 특정 브라우저 플러그인이나 API 중계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나, 아직 공식 연동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15. 마무리: Browser MCP, 써볼 가치가 있을까?

  • 장점:
    1. 로컬 브라우저 프로필 활용으로 로그인 유지, CAPTCHA 회피율 증가
    2. 간편한 설정(확장 프로그램 + AI 연동)
    3. 네이티브 속도(네트워크 지연 최소화)
    4. 자연어로 UI 자동화 지시 가능
  • 단점 / 주의점:
    1. CAPTCHA, Anti-bot 완전 해결책 아님
    2. 동적 UI, 빠른 사이트 변경 등에 대응 어려울 수 있음
    3. 추가 비용(유료 버전)이나 브라우저 확장 보안 고려
    4. 재현성(시나리오가 매번 똑같이 잘 작동하는가) 문제 발생 가능

결국 “AI 브라우저 자동화”를 시도하고 싶다면, Browser MCP는 훌륭한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 기존의 Playwright, Puppeteer와 달리, 로컬 브라우저를 직접 쓰기 때문에,
  • 이미 로그인 상태를 그대로 살려서 반복 작업을 편리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죠.

16. 추가로 기대되는 기능들

  • CAPTCHA 감지 후 자동 일시 중지, 사용자 알림
  • GUI 워크플로우 편집기: 자연어만으로도 편하지만, 마우스 드래그로 쉽게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편집 환경이 생긴다면 진정한 RPA 대체제가 될 수 있음.
  • 버튼 / 폼 인식 AI: ‘사람처럼’ UI를 파악하는 기능이 더욱 고도화되면, 특정 클래스나 id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동화를 시도할 수 있음.
  • 클라우드 동기화: 여러 컴퓨터 간에 자동화 스크립트나 세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면, 팀 단위 협업에도 유리.

17. 정리하며

Browser MCPCursor, Claude, VSCode 같은 AI 코딩/챗 도구와 결합하여 브라우저 자동화를 강력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입니다.

  • 반복적인 웹 작업(데이터 입력, 폼 작성, 테스트, 크롤링 등)을 많이 하시는 분들께 유용합니다.
  • 실제 브라우저 지문”을 사용하므로, 로그인 유지, CAPTCHA 우회 등의 측면에서 기존 헤드리스 브라우저보다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 다만, 100% 만능은 아니며, 사이트 변경, CAPTCHA 등 여전히 사람이 개입해야 할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한 번 시도해볼 가치는 충분합니다.

  • Playwright보다 설정이 쉽다
  • 로컬 브라우저라 속도가 빠르고 개인 정보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 는 실제 사용자들의 주요 호평입니다.

마지막 한 마디:

 

“AI가 직접 브라우저 버튼을 클릭하고 텍스트를 입력한다.”

 

과거에는 SF 영화 같은 장면이었지만, 이제는 누구나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Browser MCP가 그 문을 열어주고 있네요!

18. 끝으로: 참고 링크

  1. browsermcp.io
    • 공식 홈페이지. 확장 프로그램 설치 방법, AI 에디터 연동 가이드, FAQ 제공.
  2. Cursor Docs
    • Cursor에 “Browser MCP” 플러그인을 설치해 연동하는 상세 방법 확인 가능.
  3. Claude Desktop
    • Claude와 MCP 연동 후, 자연어 기반 웹 자동화 시나리오 작성 사례가 공유되고 있음.
  4. Playwright & Puppeteer
    • 기존 브라우저 자동화 툴. MCP와 비교하며 장단점을 파악할 때 참고할 수 있음.

궁금한 점이나 경험담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이 사이트에서는 CAPTCHA가 계속 떠서 어려움을 겪었다”
  • “AI가 조금만 수정해주니 반복 업무가 90% 줄었다”
  • 등등, 실전 사례 공유는 늘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웹 자동화 여정이 더욱 편리하고 즐거워지길 바라며,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